2025년 11월 18일 영어도서관 박*와 Star & Advanced 북리포트 & 취약문법10
페이지 정보
작성자본문
교재 분석 (11월 18일)
-
교재 제목 생성:
★ “Superfudge” 기반 이야기 구조 이해 및 문법 심화 학습 -
학습 주제:
-
책의 주요 인물, 배경, 갈등 및 결말 분석
-
6~7문장 요약 쓰기 (Summarize the story)
-
감정 표현 및 문법 오류 수정 훈련
-
AI 자동 평가(Grammar, Vocabulary, Cohesion 등) 피드백 수용
-
-
문법 요소:
-
시제 일치 (현재 vs 과거 vs 미래 시제 혼용)
-
주어-동사 일치 (단수/복수 오류)
-
관사(a/the) 및 전치사(in/on/to 등) 사용
-
문장 부호 및 대문자 사용(Mechanics 항목)
-
학습 포인트 및 개선 과정
1. 실수 유형별 분석
| 유형 | 내용 | 예시 | 실수 원인 |
|---|---|---|---|
| 문법(G) | 동사 시제 오류 | didn’t said → didn’t say, has new baby → has a new baby | ▶ 개념 혼동 |
| 문법(G) | 관사 누락/오류 | the Peter → Peter, to santa → to Santa | ▶ 부주의 |
| 문법(G) | 주어-동사 불일치 | Peter and Fudge was → were | ▶ 개념 혼동 |
| 문법(G) | 구두점/대소문자 오류 | in princeton → in Princeton | ▶ 전략 부족 |
| 어휘(V) | 표현 어색함 | made a trouble → caused trouble | ▶ 이해 부족 |
| 작문(W) | 문장 반복, 문맥 불명확 | so need to says → 문법 및 의미 불명확 | ▶ 전략 부족 |
2. 실수 원인 분류 및 개선 방향
| 실수 원인 | 설명 | 개선 방법 |
|---|---|---|
| (2) 부주의 | 관사 및 대소문자 오류 반복 | - 자기 글 점검 체크리스트 작성 - 관사/대문자 점검 타이머 활용 |
| (3) 개념 혼동 | 시제 일치, 주어-동사 수 일치 혼동 | - 시제별 동사 변화표 정리 - 문장 구조 시각화 연습 |
| (4) 전이 오류 | 모국어식 표현 “made a trouble” 등 | - 어색한 표현 리스트 정리 - 예문 중심 바꿔쓰기 훈련 |
| (5) 전략 부족 | 문장 흐름 연결력 부족 | - Transition Words 매칭 훈련 - 요약 글 작성 템플릿 사용 |
AI 수업 평가
| 항목 | 평가 |
|---|---|
| ★피드백 방식 | AI 자동 평가 + 교사 직접 수기 교정 병행 |
| ★반응성 | 각 항목별 점수(Grammar, Cohesion 등)로 즉각적 피드백 제공 |
| ★개인 맞춤성 | 반복 오류(시제, 관사, 단수/복수)에 지속적 교정 |
| ★정서적 지원 | “Good effort”, “Clearly completed” 등의 긍정 표현 포함 |
▶ AI 루브릭 평가 결과 (총점: 7/10)
-
Grammar: 1 → 동사 시제 오류, 반복된 문법 실수
-
Vocabulary: 1 → 단어 사용은 적절하나 어색한 표현 존재
-
Cohesion: 2 → 연결어 활용은 잘 이루어짐
-
Task Achievement: 2 → 전체 구조는 명확하며 주어진 과제 달성
종합 정리 (학부모 리포트)
박*와 학생은 11월 18일 수업에서 ★“Superfudge”★의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하고, 책에 등장한 사건의 흐름과 인물 간의 갈등을 바탕으로 리포트를 작성하는 훈련을 했습니다.
이야기를 요약하며 ‘Peter’, ‘Fudge’, ‘Tootsie’와 같은 주요 인물들의 감정과 사건을 연결 지어 풀어내는 과정에서 학생의 ★이해력과 표현력이 함께 성장★하고 있는 것이 느껴졌습니다.
문법적으로는 과거 시제의 일관성, 관사의 올바른 사용, 대문자와 구두점 등의 ★기초적인 문법 요소★에서 일부 오류가 있었지만, 교정과 설명이 함께 이루어지며 학습 효과를 높였습니다.
또한 이번 수업에서는 AI 자동 평가 결과도 함께 확인하며, Grammar(1점), Vocabulary(1점), Cohesion(2점), Task Achievement(2점) 등으로 총점 7/10을 기록했습니다. 단어는 잘 선택했지만 일부 표현이 어색했고, 문법 오류가 반복되는 부분이 개선 포인트로 제시되었습니다.
하지만, ★내용 구성력(Cohesion)★과 ★과제 수행도(Task Achievement)★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았고, 선생님의 피드백과 함께 정확한 흐름을 만들어내려는 노력이 돋보였습니다. 특히 ‘One day’, ‘In Princeton’, ‘Finally’ 등의 시간 연결어를 적극 활용한 점도 좋은 시도였습니다.
아이의 글을 통해 감정이 고스란히 전달되는 부분도 많았고, "he didn’t ask my opinion", "he was really angry"와 같은 문장은 감정이 잘 살아 있어 글의 ★몰입도★를 높여주었습니다.
이제는 조금 더 자연스러운 문장 표현과 정확한 문법 적용이 가능하도록 ‘관사 사용’, ‘동사 변화’, ‘표현 다양화’ 등에 중점을 둔 쓰기 연습이 필요합니다. 앞으로도 꾸준한 읽기와 쓰기를 통해, 더 탄탄하고 감성적인 영어 글쓰기를 이어가길 바랍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