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7일 영어도서관 최*린 Advanced 북리포트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최*린 학생 영어 학습 리포트 (9월 17일)
이번 수업에서는 『Horrid Henry Tricks the Tooth Fairy』를 배경 도서로 읽고, 문해력 기반 글쓰기 활동으로 이어졌습니다.
특히 Spectrum Writing 3 교재의 Lesson 12: Name a Story 활동을 통해 글의 중심 내용을 파악하고, 그것을 한 문장(제목)으로 요약해보는 요약력과 주제 이해력을 훈련했습니다.
1. 도서 정보 및 배경 독서
-
읽은 책: Horrid Henry Tricks the Tooth Fairy
-
AR 레벨: 3.1 / Lexile: 450L
-
책의 주제: 장난꾸러기 Henry가 이를 이용해 요정에게 돈을 받으려는 이야기
→ 주인공의 성격과 상황을 글쓰기 활동과 연결하여 활용 가능성이 높음
-
2. 학습 활동: Lesson 12 - Name a Story
활동 내용:
-
제시된 짧은 이야기(3편)를 읽고, 적절한 제목(title)을 직접 정하거나 고르는 활동
-
글의 중심 아이디어를 한 문장으로 요약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쓰기 훈련
3. 작성 내용 분석
이야기 제목 | 최*린 학생의 작성 내용 | 정답 여부 | 분석 |
---|---|---|---|
① Hannah의 아버지 이야기 | Dads and Daughters’ Day | ✅ 정확 | 핵심 내용을 잘 요약함 |
② Shawn과 바람 이야기 | The Impossible Baseball Game | ✅ 창의적이고 적절 | 사건의 특성을 살린 제목 |
③ Jake의 그림 이야기 | Rainy Day Drawing (선택형) | ✅ 적절한 선택 | 글의 전개와 감정을 반영함 |
✅ 잘한 점
-
글을 끝까지 꼼꼼히 읽고, 각 이야기의 ★중심 사건과 감정★을 이해하고 있음
-
직접 만든 제목에서는 단순 설명이 아닌 상황의 본질을 포착해 내는 감각이 돋보임
(예: “Impossible Baseball Game” → 게임이 불가능했던 상황의 창의적 해석)
???? 더 연습하면 좋은 점
-
표기상의 대소문자, 띄어쓰기 일관성
(예: Dads and Daughters' Day → Dads and Daughters’ Day에서 and는 소문자, 나머지는 대문자)
4. 교육적 의미 및 성장 포인트
-
이야기 요약 → 제목 만들기라는 구조는 문해력(Reading Comprehension) 과 표현력(Writing) 을 함께 키울 수 있는 효과적인 접근입니다.
-
최*린 학생은 각 이야기의 핵심 아이디어와 인물의 감정을 잘 읽어내고, 이를 짧은 표현으로 바꾸는 데 능숙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
정해진 답을 고르는 것뿐 아니라, ★직접 문장을 만들어내는 사고력★이 뛰어나며, 앞으로 글쓰기 능력에서의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종합 평가
최*린 학생은 이번 수업에서 이야기의 구조를 이해하고, 주제를 요약해보는 훈련에 매우 성실히 참여했습니다.
단순히 내용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그 안의 의미를 자신의 언어로 바꾸어 표현하려는 태도가 높이 평가됩니다.
앞으로는 ‘이야기 속 감정 변화’나 ‘주인공의 결정’에 집중하여 제목을 정하는 활동도 시도해볼 수 있으며, ★자기 경험을 연결한 글쓰기 활동★로 확장하면 더욱 의미 있는 표현력을 키워갈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