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24일 중등1;1 맞춤 비문학 이*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Nonfiction Reading
지문: Healing with Color (Lesson 2 – Color, Subject Link L3)
강점:
소은이는 이번 지문에서 **색이 사람의 감정과 몸에 미치는 영향(color therapy)**이라는 중심 주제를 정확히 이해했습니다.
본문의 구조를 명확히 파악하여 ‘Warm colors → energizing / Cool colors → calming’의 대비를 표로 정리하였고, Step 2 요약 활동에서도 단어 선택과 문장 흐름이 매우 논리적이었습니다.
특히 “red helps increase blood flow, reduce tiredness”와 “blue and violet help relieve headaches” 같은 세부 정보 문장을 구체적으로 기억하며, 핵심 근거 중심의 독해력을 보여주었습니다.
보완점:
소은이는 세부 정보 파악에는 강점을 보이지만, 추론형 문항(예: “What can be inferred from this passage?”)에서는 문장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연결하는 데 약간의 어려움을 보였습니다. 또한 “on the other hand”나 “so”와 같은 연결어가 문단의 논리 전환을 어떻게 이끄는지에 대한 이해를 좀 더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학교 연계 & 난이도 판정:
이번 지문은 중2~중3 수준 비문학 텍스트로, 설명문 속 비교·대조 + 인과 관계 구조가 결합된 유형입니다.
“이번 지문은 중2~중3 수준 비문학 텍스트로, 과학과 사회 교과의 ‘색채와 심리, 빛의 에너지’ 단원 및 중학교 영어 독해 시험의 추론·비교형 문제와 직접 연결됩니다.”
또한 본문 내 ‘color affects us mentally and physically’와 같은 문장은 고1 모의고사의 과학·심리 융합형 비문학 지문과 동일한 사고 구조를 요구합니다.
향후 과제:
-
연결어 중심 논리 파악 훈련 (because, so, on the other hand 등)
-
색깔의 효과를 예시로 설명하는 Why/How 확장 문장 쓰기
(예: Why do blue colors help us relax?) -
문단 간 대조 관계 요약 연습 (Warm vs. Cool colors)
-
표현 어휘 확장: energizing, relieve, therapy, calm, digest 등 과학·심리 관련 어휘 복습
Overall Feedback
소은이는 이번 수업에서 주제 이해, 세부 정보 파악, 어휘 활용이 모두 안정적이었습니다. 특히 표와 요약 활동에서 본문 내용을 구조적으로 재구성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영어 과학 비문학 독해의 기본기를 잘 갖추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문장 간 인과·대조 관계를 연결하여 서술형 문장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키우면, 고등 수준의 추론 독해로 자연스럽게 발전할 수 있습니다.
종합 성취 평가
Reading: A
학부모 보고서
이소은 학생은 이번 Healing with Color 지문에서 색이 사람의 감정과 신체에 주는 영향을 명확히 이해하고,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의 효과를 잘 구분했습니다.
내용 이해와 어휘력이 뛰어나며, 주어진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능력이 우수합니다.
다음 단계에서는 문장 간 관계(비교·인과)를 설명하는 추론형 문제 연습을 통해, 중3~고1 수준의 비문학 독해력으로 한 단계 도약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