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fiction Reading
지문: How We See Color (Lesson 1 – Color, Subject Link L3)
강점:
소은이는 이번 과학 비문학 지문에서 **“색은 빛의 반사와 흡수에 의해 보인다(We see color through reflected light)”**라는 핵심 개념을 정확히 이해했습니다.
Step 1 그래픽 오거나이저에서 ‘light → object → reflected light → eyes’의 흐름을 논리적으로 연결했으며, Step 2 요약문에서도 단어 선택과 문장 구조가 정확했습니다.
‘white light = mixture of many colors’와 ‘a prism breaks white light into seven colors’의 과학 개념도 올바르게 설명하며, 사실 정보와 실험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이해했습니다.
보완점:
‘absorbs’와 ‘reflects’의 의미는 잘 알고 있으나, 두 개념이 동시에 쓰일 때의 인과 관계 문장 구조(예: “When light hits an object, some is absorbed and the rest is reflected.”)를 완벽히 문장으로 설명하는 데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또한 추론형 문항(예: “What can be inferred from paragraph 3?”)에서 실험의 목적을 문맥으로 연결하는 요약적 사고력을 보완할 필요가 있습니다.
학교 연계 & 난이도 판정:
이번 지문은 중2 수준 비문학 텍스트로,
과학 교과의 ‘빛과 색의 원리’ 단원 및 중학교 영어 독해 시험의 설명문 + 과학 정보형 지문과 직접 연결됩니다.
“이번 지문은 중2 수준 비문학 텍스트로, 빛의 반사·흡수 개념을 다루며 과학 교과와 영어 독해 시험의 사실 정보형 문제와 직접 연결됩니다.”
또한 ‘experiment’, ‘prism’, ‘mixture’ 등 과학 용어를 영어로 이해하는 능력은 고등 과학 비문학 지문 대비의 기초력을 탄탄히 쌓아줍니다.
향후 과제:
-
인과 관계 문장 쓰기 연습: When / because / if 구조 중심
-
추론형 질문 연습: 실험 목적과 결과를 연결하는 문장 구성
-
과학 어휘 정리: absorb, reflect, prism, consist of, mixture 등
-
3문장 요약 훈련: (1) 주제 – (2) 과정 – (3) 결과 구조로 정리
Overall Feedback
이소은 학생은 과학 비문학 지문에서 매우 뛰어난 이해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보였습니다.
본문의 실험 예시를 근거로 답을 찾는 능력이 우수하며, 글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정리하는 활동(그래픽 오거나이저)에서도 탁월했습니다.
다음 단계에서는 문장 간 관계(인과·결과·대조)를 활용해 자신의 말로 설명하는 훈련을 통해, 고등 비문학형 논리 독해력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종합 성취 평가
Reading: A
학부모 보고서
이소은 학생은 ‘빛과 색의 원리’를 다룬 과학 비문학 지문을 통해 논리적 이해력과 세부 정보 파악 능력을 확실히 보여주었습니다.
과학 개념(빛의 반사·흡수, 흰빛의 구성)을 영어 문장으로 정확히 표현하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추론형 문제에서 문장 연결력을 보완하면, 중학교 상위권 영어 독해뿐 아니라 고1 과학형 비문학 지문 대비력도 충분히 갖출 수 있을 것입니다.